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Rocky, 3류 복서의 희망
    드라마세상 2024. 5. 27. 17:55
    반응형

    [출처-나무위키, 록키]

     

    실베스터 스탤론(마이클 실베스터 가덴시오 스탤론,  Michael Sylvester Gardenzio Stallone)이 각본과 주연으로 미국 영화연구소(American Film Institute) 선정 57위라는 엄청난 위업을 달성한 Rocky는 이탈리아계 미국인들의 아메리칸드림 영화이자 하류인생의 언더독을 표방한 마이너영화이다. 3일 반 만에 완성했다는 Rocky의 대본은 당시 하루 36$도 벌기 어려웠던 그에게 일생 가장 큰 기회였을  360,000$이라는 판권을 제안 받는 사건으로 진화한다. 무명배우였던 스탤론은 자신이 주연을 맡는 조건으로 United Artists Corporation ( UA )와 25,000$에 판권 계약을 체결하고 960,000$의 저예산으로 단 28일 만에 영화를 완성하게 된다. 1976년에 개봉한 Rocky는 북미 스코어로만 1억1,700$의 메가 히트를 기록하였으며 이듬해 아카데미에서 작품상과 감독상을 수상하는 성공 신화를 완성한다.

     

     
     

    언더독의 발돋움

     

    록키 발보아는 필라델피아의 한 클럽에서 활동하는 3류 복서이지만 생활고 때문에 빌린 돈을 대신 받아주는 수금원 생활로 하루를 근근이 버티는 별 볼일 없는 하류인생이다. 그럼에도 권투를 진정으로 사랑하기에 체육관을 쉬 떠나지 못한다. 여느 때와 다름없는 하루를 시작하는 그에게 체육관 관장은 헤비급 세계챔피언의 스파링파트너 제안 자리인 줄 알고 관계자로부터 받은 명함을 건네준다. 미국 독립 200주년을 기념해 개최하기로 한 이벤트의 도전자가 갑작스러운 골절사고로 경기 진행이 어렵게 되자 챔피언 크리드는 무명선수에게 도전권을 주는 특별이벤트 개최를 제안했고 우연히도 록키에게 그 기회가 찾아오게 된다. 제대로 된 트레이닝 한 번 받아 본 적이 없는 록키에게 15라운드 경기는 다 다랄 수 없는 꿈이었고 주변에서는 3라운드도 못 버틸 거라는 말을 듣는다. 록키의 대사 중 "내가 원하는 건 완주하는 거야. 그 거리를 완주하고, 종이 울릴 때 내가 여전히 서 있다면, 내 인생 처음으로 내가 그냥 동네에서 놀던 건달이 아니었다는 걸 알게 될 거야.(원문 - All I wanna do is go the distance. If I can go that distance, see, and that bell rings and I'm still standin', I'm gonna know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, see, that I weren't just another bum from the neighborhood)"는 말은 미국 이민자들의 유리천장으로 인한 선입견을 깨부수고자 했던 한 소시민의 독백이며 승리나 챔피언이 되겠다는 거창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자신의 존재이유를 찾고자 하는 자그마한 소망이었다. 경기가 끝나고 근소한 차이로 언더독의 도전은 해피닝으로 끝나지만 챔피언을 상대로 한 록키의 15라운드 완주는 그의 뮤즈 애드리안에 대한 사랑의 완성을 의미하기도 한다. 엔딩의 포커스가 경기의 승패에 대한 감정이나 향후 도전자로서 록키의 행보가 아니라 연인 애드리안이 어딘에선 가 떨군 모자의 행방과 그녀에 대한 자신의 솔직한 감정에 줌인되어 더없이 좋았다.

     

     
     

    영화 전체를 관통하는 한 줄

     

    "난 부족한 게 있고, 너도 부족한 게 있어. 우린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거야.(원문 - I got gaps; you got gaps; we fill each other’s gaps.)"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